에이스병원은 안전하고 편안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무릎 구부릴 때 뒤쪽으로 통증을 호소하여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무릎 뒤쪽에 통증이 있는 경우는 무릎 뒤쪽 힘줄 염증부터 베이커 낭종이라는 물혹, 그리고 바깥쪽에 있는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있을 때 무릎 뒤가 통증의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제일 심각한 병은 안쪽 무릎 연골판의 뒤쪽에 해당하는 뿌리 부분이 파열되는 것이다.
심각한 첫 번째 이유는 연골 판의 기능 손실 때문이다. 무릎 연골 판은 종아리뼈와 허벅지 뼈 연골 사이에서 물렁뼈로서 뼈 연골을 보호하게 된다. 흔히 말하는 퇴행성 관절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이 이 뼈 연골이 닳으면서 뼈가 보호를 받지 못하고 노출이 되는 것을 말한다. 뼈 연골은 동전 두께 하나 혹은 두 개 정도로 얇으면 한번 손상이 되면 재생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물렁뼈 혹은 도가니 라고 불리는 연골 판이 잘 보존되어 무릎 위 아래 뼈 연골의 보호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쪽이나 중간이 찢어지게 되면 관절경 시술을 통해서 연골판을 부드럽게 모양을 만들어 찢어진 연골판은 다듬고 최대한 본인의 건강한 연골판이 많이 남을 수 있도록 성형해 준다. 연골판 수술 후 얼마나 남았느냐가 중요한 것은 간단한 예를 들면 군인들이 군대에서 다쳐서 찢어진 정도에 따라서 군대에서 제대를 하기도 하고 보직 변경을 하는데 연골판의 기능이 줄어들어서 관절염이 생기는 것을 최대로 막아주기 위해서 뛰는 것을 제한한다.정재훈 안산에이스병원 원장은 “과거에는 수술적 방법이 많이 개발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서 접합한 부위가 잘 붙지 않는 경우가 있었으나 현재는 수술적 기법의 발달로 인하여 치유 확률이 많이 높아졌다. 만약 관절염이 아직 진행되지 않고 빨리 발견된 경우는 연골 봉합술을 통해서 연골판의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고 만일 치료가 늦어져 관절염이 진행된 경우는 연골 봉합술과 줄기세포 치료를 통해서 뼈 연골을 복원 시켜줄 수 있다”며 “재활 기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되도록이면 조기 발견과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만약 무릎 뒤쪽이 불편한 증세가 계속된다면 병원에 내원하여 원인을 찾아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 기사보기
https://www.starnewskorea.com/stview.php?no=2019111209490228857